농사용 전기 신청·공사 전문
양수기, 하우스 설비, 모터 등 농업용 전기 신청부터 안전 시공까지
농사용 전기
하우스, 양수기, 저온저장고, 농막
임시 전기
공사장, 행사장, 야외 작업
신청 절차
1
현장 상담
전력 용량, 설치 위치, 현장 환경을 확인합니다
2
설계 및 견적
전선 굵기, 차단기 용량, 시공 방법을 결정합니다
3
한전 신청
전력 계약, 인입 허가 등 행정 절차를 대행합니다
4
시공 완료
안전공사 사용전 점검 및 계량기 설치
농사용 전기
농업 현장 맞춤 전력 공급
주요 설비
- 양수기·관정 모터
- 비닐하우스 난방·환기
- 저온저장고·냉동설비
- 농막용 전기설비
- 농기계·펌프 전용선
시공 특징
모터 기동전류
6~8배 고려 설계
방수등급
IP65 이상 분전반
누전보호
접지+누전차단기
전압강하
장거리 굵기 보정
임시 전기
공사장·행사장 임시 전원
적용 현장
- 건축·토목 공사장
- 야외 행사·축제
- 용접·공구 전원
- 조명·안전설비
안전 관리
케이블 보호
트립 방지·표시
분전반 설치
이동형·고정형
누설 시험
절연·누전 점검
철거 계획
배치도·표지판
비용 안내
자주 묻는 질문
표준시설부담금(한전불입금)은 얼마인가요?
2023년 7월 1일 이후 신청분에 대한 표준시설부담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시설부담금 (부가가치세 불포함)
- 저압
- 매 1계약에 대하여 계약전력 5kW까지: 306,000원
- 계약전력 5kW 초과분의 매 1kW에 대하여: 121,000원
- 고압 또는 특별고압
- 신증설 계약전력 매 1kW에 대하여: 24,000원
2. 거리시설부담금 (부가가치세 불포함)
- 신설거리
- 기본거리를 초과하는 신설거리 매 1m에 대하여:
- 단상: 48,000원
- 삼상: 53,000원
- 고압 또는 특별고압: 53,000원
- 기본거리를 초과하는 신설거리 매 1m에 대하여:
- 첨가거리
- 저압: 7,000원
- 고압 또는 특별고압: 12,000원
※ 1m 미만의 끝자리수는 버립니다.
※ 삼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기존 단상 배전선로에 첨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첨가거리시설부담금 단가를 적용합니다. 다만, 지중 배전선로인 경우에는 신설거리시설부담금 단가를 적용합니다.
농사용 전기 요금은 어떻게 책정되나요?
한전의 농사용 전력 요금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4월 1일부터 적용되는 요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농사용전기(갑)
- 기본요금: kW당 360원
- 전력량요금: kWh당 48.3원
나. 농사용전기(을)
- 저압전력
- 기본요금: kW당 1,150원
- 전력량요금: kWh당 65.9원
- 고압전력A·고압전력B
- 기본요금: kW당 1,210원
- 전력량요금:
- 여름철: 68.6원/kWh
- 봄·가을철: 66.6원/kWh
- 겨울철: 68.6원/kWh
농사용 전력 (갑)과 (을)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농사용전력은 전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적용합니다.
1. 농사용전력(갑)
- 양곡생산을 위한 양수, 배수(排水)펌프 및 수문조작에 사용하는 전력
2. 농사용전력(을)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계약전력 1,000kW 미만의 고객으로서 농사용전력(갑)이외의 고객
- 가. 농사용 육묘(育苗) 또는 전조(電照)재배에 사용하는 전력
- 나. 농작물재배·축산·양잠·수산물양식업, 농작물 저온보관시설, 수산업협동조합 또는 어촌계가 단독 소유하여 운영하는 수산물 저온보관시설에 전력을 사용하는 고객으로서 농사용전력(갑) 이외의 고객
- 다. 농수산물 생산자의 농수산물 건조 시설, 수산업협동조합 또는 어촌계가 단독 소유하여 운영하는 수산물 제빙·냉동시설
- 라. 농작물재배·축산·양잠·수산물양식업 고객의 해충 구제(驅除) 및 유인용 전등
- 마. 아래 시설 중 판매 및 유통시설을 제외한 주시설
- (1) 국가 또는 지자체의 지원금을 받고 농작물(양곡 제외) 또는 임산물 생산자 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 (2) 처리대상 물질 중 가축분뇨가 90% 이상이며, 축산물 생산자 또는 축산물 생산자 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가축분뇨(공동)처리장
- (3) 굴생산자 또는 수산물 생산자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굴껍질처리장
- (4) 국가 또는 지자체의 지원금을 받고 수산물 생산자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수산물 산지 거점유통센터(FPC)
- 바. 농사용전력(을)은 공급전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 (1) 저압전력: 표준전압 110V·220V·380V 고객
- (2) 고압전력(A): 표준전압 3,300V 이상 66,000V 이하 고객
- (3) 고압전력(B): 표준전압 154,000V 이상 고객
3. 예외사항
계약전력 1,000kW이상이라도 다음의 경우 농사용전력(을)을 적용합니다:
- 수산업협동조합 또는 어촌계가 단독 소유하여 운영하는 수산물 저온보관시설 및 위 2항의 "마"목에 해당하는 고객
- 농·축·수산물 생산자단체 또는 어촌계가 농사용전력(을) 용도로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단, 수산업협동조합 또는 어촌계가 단독 소유하여 운영하는 제빙·냉동시설 고객 제외)
현장 거리가 멀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거리가 멀수록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전선 굵기를 적절히 보정해야 합니다.
- 100m 이내: 표준 굵기 적용
- 100~300m: 1~2단계 굵기 증가
- 300m 이상: 현장 계산 필요
공사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현장 여건과 공사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소요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농사용 전기: 1~2주 (안전공사 점검 포함. 전주 신설 유무에 따라 1~2개월 이상도 가능)
- 임시 전기: 3~7일
시공 사례
🌾 비닐하우스 전력 인입
울산시 울주군
설비: 온풍기 3대 + 관수펌프 1대
용량: 총 15kW (삼상 380V)
거리: 한전 인입선에서 150m
특이사항: 장거리로 인한 전압강하 고려, HIV 16sq → 25sq 적용
💧 관정 양수기 설치
울산시 남구
설비: 심정용 수중펌프 7.5kW
용량: 단상 220V → 삼상 380V 승압
특이사항: 기동전류 8배 고려, 75A 차단기 + 25sq 전선
안전: 접지봉 3개, 충분한 접지저항 유지
🏗️ 건축 공사장 임시전기
울산시 북구
설비: 타워크레인 + 용접기 + 조명
용량: 50kW (삼상 380V)
기간: 18개월 (연장 신청 1회)
특이사항: 이동식 분전반 + 케이블 보호덮개 설치
안전 기준 및 점검 사항
⚡ 전기 안전 기준
- 절연저항: 0.5MΩ 이상 (저압), 1MΩ 이상 (고압)
- 접지저항: 100Ω 이하 (A종), 10Ω 이하 (특별고압)
- 누전차단기: 30mA 이하, 0.03초 이내 차단
- 과전류 보호: 정격전류의 125% 이하 설정
🛠️ 시공 안전 기준
- 케이블 보호: 지중 매설 시 0.6m 이상 깊이
- 분전반 설치: 지상 1.5m 높이, IP65 이상
- 접지 시설: 접지봉 길이 1.5m 이상, 동봉 사용
- 표시 및 경고: 위험 표지판, 회로도 부착
🔍 정기 점검 사항
- 월 1회: 누전차단기 동작 시험
- 분기 1회: 절연저항 측정
- 반기 1회: 접지저항 측정
- 연 1회: 전기안전공사 정기점검
📋 필수 서류
- 전기사용신고서: 한전 제출 (신규 계약 시)
- 전기공사 계획신고서: 전기안전공사 제출
- 준공검사 확인서: 시공 완료 후 발급
- 정기점검 성적서: 연간 점검 결과 보관
농사용전기/임시전기, 지금 상담받으세요
현장 실정에 맞춰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력을 제공합니다.